전세대출 완벽 가이드
종류부터 소득공제까지 한번에 정리
안녕하세요,
블로거 재이입니다!
얼마 전 동생이 결혼을 앞두고 전세대출에 대해 물어보더라고요.
처음 전세대출을 알아볼 때는 저도 정말 막막했던 기억이 나요.
"어떤 전세대출을 받아야 할까?"
"나는 조건이 될까?"
"이자는 얼마나 나올까?"
이런 고민 다들 한 번쯤 해보셨죠?
오늘은 제가 실제로 전세대출을 받으면서 알게 된 정보들과
최신 업데이트된 내용까지 모두 정리해서 알려드릴게요!
1. 전세대출, 제대로 알고 시작하자
전세대출은 말 그대로 전세 보증금을 대출받는 것인데요.
2024년 기준으로 시중은행의 전세대출 금리는 4~5%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물론 은행과 상품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어요.
특히 요즘처럼 금리가 높은 시기에는 전세대출을 받기 전에
꼼꼼히 따져보는 게 정말 중요합니다.
2. 전세대출 종류, 어떤 게 있을까?
제가 알아본 전세대출 종류를 하나씩 살펴볼까요?
1) 일반 전세대출
시중은행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전세대출
소득과 신용도에 따라 대출한도가 결정됨
전세보증금의 최대 80%까지 대출 가능
2) 보증부 전세대출
주택금융공사나 서울보증보험의 보증으로 진행
일반적으로 금리가 더 저렴
전세보증금의 최대 90%까지 대출 가능
3) 신혼부부 전세대출
결혼 7년 이내 신혼부부 대상
더 낮은 금리와 높은 한도 제공
소득기준이 완화되어 있음
3. 전세대출 조건, 내가 받을 수 있을까?
전세대출 조건은 크게 네 가지를 보는데요
소득기준
연소득 9천만원 이하 (신혼부부는 예외 있음)
부부합산 소득 기준
주택기준
시가 9억원 이하 주택
전용면적 85㎡ 이하 (수도권 제외 지역은 100㎡)
신용등급
보통 1~7등급까지 가능
8등급 이하는 심사가 까다로움
기존 대출 여부
DTI, DSR 등 고려
기존 주택담보대출이 있다면 제한될 수 있음
4. 전세대출 이자, 얼마나 나올까?
제가 실제로 받은 전세대출을 예시로 계산해볼게요!
전세보증금: 3억원
대출금액: 2억원
금리: 4.5% (2024년 2월 기준)
월 이자 = (2억 × 0.045) ÷ 12 = 약 75만원
하지만 여기서 팁!
전세대출 이자는 소득공제가 가능합니다.
5. 전세대출 소득공제 조건과 혜택
전세대출 소득공제는 정말 큰 혜택인데요.
연말정산 때 꼭 챙기세요!
소득공제 조건
무주택 세대주일 것
전용면적 85㎡ 이하 주택
총급여 7천만원 이하
연간 최대 300만원까지
원리금 상환액의 40%를 소득공제 받을 수 있어요.
6. 전세대출, 이것만은 꼭 체크하세요!
중도상환수수료 확인
보통 3년 이내 상환 시 발생
은행마다 차이가 있으니 꼼꼼히 확인
대출 기간
보통 2년 (전세계약 기간과 동일)
연장 가능 여부 미리 체크
전세자금대출 보증료
보증금액의 0.05~0.15% 수준
미리 계산해두면 좋아요
전입신고 필수
대출실행 후 1개월 이내 전입신고 필수
잊지 말고 꼭 하세요!
전세대출은 인생에서 가장 큰 금액의 대출이 될 수 있어요.
그만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제가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정리한 내용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참고로 전세대출 관련 정책은 자주 바뀌니
실제 대출 신청 전에 은행에 최신 조건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제가 정리한 내용은 2024년 2월 기준이에요.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구독 부탁드립니다!
다음에도 유익한 정보로 찾아올게요 😊